본문 바로가기

김보경/논문 스터디

(6)
논문 #6. 학습용 에이전트 의인화 설계 요인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14040 학습용 에이전트 의인화 설계 요인: 인간성과 역할을 중심으로 이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을 통해 외국어(영어)를 학습하는데 있어 사용자 경험을 제고할 수 있는 학습 에이전트의 의인화 설계 요인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콘텐츠를 전달하는 학 www.kci.go.kr 해당 논문은 스마트폰을 통해 외국어(영어)를 학습하는데 있어 사용자 경험을 제고할 수 있는 학습 에이전트의 의인화 설계 요인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둔다. 이 연구에서는 콘텐츠를 전달하는 학습용 에이전트를 설계할 때 학습 촉진, 신뢰,..
논문 #5. Machine Behavior l Rahwan, I., Cebrian, M., Obradovich, N., Bongard, J., Bonnefon, J.-F., Breazeal, C., Crandall, J. W., Christakis, N. A., Couzin, I. D., Jackson, M. O., Jennings, N. R., Kamar, E., Kloumann, I. M., Larochelle, H., Lazer, D., McElreath, R., Mislove, A., Parkes, D. C., Pentland, A. ‘Sandy,’ … Wellman, M. (2019). Machine behaviour. Nature, 568(7753), 477–486. 해당 논문에서는 ‘Machine Behavior’ 즉 기계가 인간과 ..
논문 #4. 프로테우스 효과와 가상인간 Peña, J., Hancock, J. T., & Merola, N. A. (2009). The priming effects of avatars in virtual settings. Communication Research, 36(6), 838–856 해당 논문은 프로테우스 효과에 근거를 두고 가상환경에서 나의 '아바타'의 모습이 사용자의 감정과 사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프로테우스 효과와 실험 실제로 프로테우스는 다양한 해석을 지니고 있는 개념이지만, '심리학'적인 용어로 프로테우스 효과(Proteus Effect)란 '가상현실에서 개인에게 주어지는 아바타의 특성에 따라 개인의 행동이 달라진다는 현상이다. 이를 테면 키가 작은 사람이 키 큰 아바타를 받으면 현실의 키 큰 사람이 ..
논문 #3. 체화된 인지 (embodied cognition) 논문: Davis, J. I., Benforado, A., Esrock, E., Turner, A., Dalton, R. C., van Noorden, L., & Leman, M. (2012). Four applications of embodied cognition. Topics in Cognitive Science, 4(4), 786–793. *Embodied Cognition: 체화된 인지는 몸이 직접 느끼고 경험한 것들을 바탕으로 인지한다는 배경으로부터 비롯된다. 해당 논문에서는 네 명의 다른 작가들이 체화된 인지를 통해서 어떤 사고를 거치는지 보여주는데, 이들이 법 체계, 예술과 문학, 건축 공간과 음악을 어떻게 다르게 받아들이는지를 설명한다. 먼저 법적 체계와 체화된 인지의 발현을 살펴보면, 법..
논문 #2. 가상인간과의 교류: 로봇을 통한 사회적 반응 실험 논문: Yam, K. C., Goh, E.-Y., Fehr, R., Lee, R., Soh, H., & Gray, K. (2022). When your boss is a robot: Workers are more spiteful to robot supervisors that seem more human.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102, 104360. ※해당 논문에서 다루는 Antropomorphism 개념은 논문 스터디 #1에서 설명을 진행했으니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https://metawriters.tistory.com/16 논문 #1. 가상인간과 의인화 (Anthropomorphism) 논문: Epley, N., Waytz, A., ..
논문 #1. 가상인간과 의인화 (Anthropomorphism) 논문: Epley, N., Waytz, A., & Cacioppo, J. T. (2007). On seeing human: A three-factor theory of anthropomorphism. Psychological Review, 114(4), 864–886. Anthropomorphism이란 의인화로 현재 번역되지만 애초에 이 개념은 신이 인간과 같은 모습을 지녔다고 생각하는 사상에서부터 유래된다. 영적인 존재에게 보이는 형상을 부여함으로써 비이성적인 측면을 이성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도 정의되는 Anthropomorphism을 해당 논문에서는 3가지 심리적인 관점 (Elicited agent knowledge, Effectance motivation, Sociality motivat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