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시나 증강현실 기술에 대한 관심을 Digital Twin 쪽으로 옮겨와서 살펴봤다.
산업 현장에서 Digital Twin 을 이용하면 어떤 효용이 있을지에 대해 탐구했던 논문이라고 할 수 있겠다.
1. 목차
1. Introduction
2. Background
3. Materials and Methods
A. Meterials Used
B. Process
C. Communication
D. Interface
4. Experiments and Results
5. Conclusion and future work
2. 요약
산업업 내에서 인간과 기계간에 Digital twin과 AR 기술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상호작용 하는것을 목표로 한다. 이 기술은 작업자의 Monitoring 기술에 특히 많은 도움을 주는데, 이것을 위해 Game development engine 기술을 많이 적용했다.
결과적으로 2D HMI(Human-machine interface)를 적용했을 때보다 훨씬더 구체적인 작업 구현이 가능했다. 하지만 논문에서도 지속해서 언급하지만 실재 산업 현장에 적용하려면 advances of Interface proppsal 이 필요하며, 3D modeling을 위한 더 나은 수단이 필요하다.
3. 느낀점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을 이용해 QR 코드를 인식시키면, AR 기술이 휴대폰에 적용돼서 증강현실 및 DT(Digital twin)을 구현 하도록 하고 있다. 논문 저자는 이를 통해 비용 절감도 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기술적 한계가 있지만 본 실험 자체는 'it works' 라고 말할만 한 수준이다. 물론 통신망의 발달이 필요하고, 전력의 공급도 매우 중요한 사항이라는 언급을 빼놓진 않았다.
Fig 4, 5, 7 을 보면, 어떤 흐름으로 작업장의 정보를 3D modeling 하여 내가 있는 곳에서 적용하여 일할 수 있는지 그 대략적인 컨셉이 나와있다. 아직은 "이렇게까지 해야 하나? 라는 생각이 들긴 하는데, 한편으로 우리가 이메일로 연락을 주고 받는 것처럼 작업장에 가지 않고, Physical 한 일을 하게 되고 저렴한 가격까지 더해진다면 이용하지 않을 사람은 없을 것이다. 어쩌면 내가 생활하는 공간만 남고 일하는 곳은 가상이면서 현실인 그 사이 어딘가에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한다.
관련하여 기반이 되는 인프라, 그래픽 기술, 사용자의 니즈가 맞아야겠지만, 상상만으로도 큰 산업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추가사항

'신정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인 채굴] RXD (Radiant) 는 채굴의 대표코인이 될 수 있을 것인가? (0) | 2023.04.12 |
---|---|
[논문 리뷰] 업무환경에서의 메타버스 사용의도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0) | 2023.03.29 |
[논문 리뷰] 부동산 서비스에서의 AR 활성화 방안 연구 (0) | 2023.03.15 |
[논문 리뷰] 증강현실 광고의 소비자 효과(김찬원, 유홍식) (0) | 2023.03.01 |
위믹스 코인원 복귀와 이에 대한 시각들 (0) | 2023.02.20 |